핵심 한 줄: 차지백은 카드 네트워크 규칙을 기반으로 움직입니다. 예약 취소·오버부킹·이중결제·미제공 등 명확한 사유와 증빙 패키지가 있으면 1차 분쟁에서 승산이 커집니다.
단, 환불불가 요금제 같은 정책 이슈는 먼저 아고다/숙소 중재를 거친 뒤 카드 분쟁으로 넘어가세요.
상황 | 우선 경로 | 차지백 고려 시점 | 필수 증빙(핵심) | 비고 |
무료취소 마감 前 취소 | 아고다 앱/웹 취소 → 환불 대기 | 환불 ETA 초과·거절 시 | 마감 전 취소 화면, 바우처 정책, 카드 승인/승인취소 내역 | 정책 준수 케이스. 카드사 분쟁에 유리 |
오버부킹/숙소 제공불가 | 아고다 고객센터 중재 | 대체·환불 거절/지연 시 | 현장사진, 프런트명, 거절 기록, 추가지출 영수증 | 서비스 미제공 분쟁 사유 해당 |
이중결제/금액오류 | 아고다/숙소 정정 요청 | 정정 부재·지연 시 | 중복 승인 스샷, 명세서, 승인취소 번호 | 처리 흔하지만 증빙 필수 |
환불불가 요금제 | 정책상 원칙 불가 | 허위정보·미제공 등 별도 사유 있을 때 | 상품 불일치·미제공 증빙, 정책 캡처 | 단순 변심은 불리 |
1. 타임라인: 보통 120일 안에 움직여야 합니다
대부분의 소비자 분쟁은 거래일 또는 예상 제공일로부터 최대 120일 이내 제기해야 합니다(네트워크·사유별 예외 존재). 즉, 증빙 준비 → 가맹점(아고다/숙소) 해결 시도 → 카드사 분쟁 접수를 속도감 있게 밟아야 합니다.
- Visa: 코어 룰·머천트 가이드에 타임라인·카테고리(서비스 미제공·크레디트 미처리 등) 명시.
- Mastercard: 2025 머천트 차지백 가이드 기준, 일반적으로 120일(사유코드에 따라 상이).
2. ‘이기는’ 증빙 패키지 구성(체크리스트)
- 바우처: 예약번호, 요금제, 취소 마감(현지시간) 캡처
- 정책 스냅샷: 취소/환불/노쇼/숙소정책 페이지 캡처
- 통신 기록: 앱 메시지/이메일/통화 요약(상담원명·티켓번호·기한)
- 현장 증거: 오버부킹·제공불가·객실불일치 사진/영상
- 결제 자료: 카드 승인·청구·승인취소(또는 환급) 내역
3. 네트워크별 기본 흐름(Visa/Mastercard)
- 카드사 접수: 거래·사유 확인, 임시 크레디트 여부는 발행사 정책에 따름
- 가맹점 대응: 아고다/숙소 측 반증(이용증명/정책)에 따라 수용·거절
- 재분쟁/재심(프리-아비·아비트레이션): 네트워크 룰에 따른 2차 단계
※ 용어·단계 표기는 네트워크/지역에 따라 상이. 발행사 안내와 가맹점 측 회신 기한에 유의.
4. 케이스별 작전(문구까지 제공)
① 서비스 미제공/오버부킹
- 문구: “Property could not accommodate the stay. Requesting full refund due to non-provision of services.”
- 증빙: 프런트 안내/문닫음 사진, 대체 숙소 영수증, 아고다 티켓
② 크레딧 미처리(환불 지연)
- 문구: “Cancellation completed before deadline; credit not processed within stated ETA.”
- 증빙: 무료취소 마감 전 취소 화면, 환불 ETA 안내, 카드 내역
③ 이중결제/금액 오류
- 문구: “Duplicate charge for same booking; request void/correction.”
- 증빙: 명세서 2건, 승인취소 번호, 동일 예약번호 캡처
④ 환불불가 요금제
- 포인트: 단순 변심은 불리. 허위정보·중대한 불일치·미제공이 있을 때만 분쟁을 고려
- 증빙: 객실·정책 불일치 사진, 설명 대비 차이 캡처
5. 제출 순서 & 파일명 규칙(지연 방지 루틴)
- 1시간 내 현장 사진/영상·통신 기록 확보
- 24시간 내 아고다 고객센터 공식 티켓 확보
- 48~72시간 보완자료 제출·승인취소 번호 요청
- 최대 120일 카드사 분쟁 접수(사유코드·타임라인 준수)
파일명 예: 20250927_overbooking_BKG123456_frontdesk.jpg / 20250927_refund_eta_not_processed.pdf
6. 자주 틀리는 포인트 & 리스크
- 타임라인 오해: ‘120일’은 만능이 아님(사유·지역별 상이). 늦게 움직이면 각하
- 정책 미숙지: 환불불가 요금제는 약관상 불가가 기본. 정책 위반 주장엔 확실한 증빙 필요
- 증빙 누락: “말만 길고 캡처가 없음” → 패소 확률↑. 핵심 1~3장으로 요지 명확히
- 중복 루트: 아고다/숙소 해결 중 + 카드 분쟁 동시 남발은 혼선. 단계별로 기록 정리
FAQ
Q1. 차지백은 무조건 120일인가요?
A. 일반 소비자 분쟁의 기준선이 120일인 경우가 많지만, 카드 네트워크·사유코드·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발행사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Q2. 환불불가 요금제도 차지백이 되나요?
A. 단순 변심은 어렵습니다. 다만 서비스 미제공·허위표시·중대한 불일치 등 사유가 명확하면 가능성이 있습니다.
Q3. 환불 얼마나 걸리나요?
A. 임시 크레디트/최종 반영은 발행사·국가에 따라 상이합니다. 승인취소 번호와 처리 ETA를 받아 추적하세요.
'예약·환불·규정 > 호텔_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고다 증빙 모으기 템플릿|환불·오버부킹·이중결제 분쟁까지 한 번에 정리(2025) (0) | 2025.09.27 |
---|---|
아고다 환불·변경 총정리|무료취소 데드라인·환불불가 예외·노쇼·오버부킹 대응(2025) (0) | 2025.09.27 |
아고다 고객센터 전화 연결 꿀팁 공개 – 1분 만에 상담원 연결하는 2025년 최신 방법 (0) | 2025.09.27 |
[2025 최신] 아고다 ‘환불불가’ 예약, 소보원(국제거래포털) 민원으로 환불받을 수 있을까? 대응 가이드 완벽정리 (0) | 2025.09.22 |
아고다 예약 취소 불가 취소방법 | 날짜변경 꿀팁·고객센터 연락·문의메일 양식(복붙 가능) (0) | 2025.09.21 |